소식

공급자도 싫고, 소비자도 싫은데, '100년 된' 왓슨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2024-08-18

한어Русский языкEnglishFrançaisIndonesianSanskrit日本語DeutschPortuguêsΕλληνικάespañolItalianoSuomalainenLatina

아시아 최고 부자로 돌아가겠다는 리카싱의 꿈은 왓슨스에 고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시장에서는 100년 역사의 국제 소매 및 식품 제조 브랜드인 왓슨스(Watsons)가 IPO 계획을 거의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이 소식은 테마섹 부회장 치아 송휘(Chia Songhui)에 대한 월스트리트 저널의 보고서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는 “왓슨의 상장 계획은 존재하며 목표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10년 동안 보류됐던 왓슨이 2024년 IPO 야심을 다시 불붙일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시장에서 왓슨의 성적은 좋지 않았다. 연중 내내 쇼핑몰에서 C위를 차지했지만, 한때 한 달에 1만 위안도 쉽게 벌던 판매원은 이제 없어졌다. 더 오래 번영했고 그들의 수입은 거의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실적은 쇠퇴하고, 브랜드는 노후화되고, 공급자는 싫어하고, 소비자는 싫어하는 오프라인 뷰티 소매점의 원조인 왓슨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자체 운영 제품의 매출총이익률은 60%에 달하지만 직원의 월급은 3,000위안에 불과합니다.
기자는 왓슨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칭다오에 31개 매장이 있고 그 중 칭다오 선샤인 백화점에 있는 왓슨스 매장이 문을 닫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지역 분포로 볼 때, 핑두 지역에는 매장이 없으며, 칭다오 서해안 신구에는 매장이 가장 많아 총 9개가 있습니다. 최근 기자들이 서해안 신지구 내 여러 대규모 상권에 위치한 왓슨스 매장을 방문해 거의 모든 매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이 거의 흔한 현상일 뿐 아니라, 매장 내 브랜드의 노후화도 중요한 이유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젊은 사람들이 더 이상 왓슨스에 들어가기를 꺼리는 이유.
왓슨스(시티미디어스토어) 오프라인 매장은 텅 비어있습니다
"지금은 예전에 비해 오프라인으로 구매하는 소비자가 확실히 줄었고, 대부분 세면용품이나 생활용품을 사러 옵니다. 요즘은 소비자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 너무 많아 우리의 추천이나 소개를 듣고 싶어 하는 고객이 거의 없습니다. 그중에서도 어려운 점은 판매되는 것이 왓슨의 자체 운영 브랜드 제품이라는 것입니다.” 서해안 신구 샹장 로드에 위치한 왓슨스 영업 직원인 리씨가 기자들에게 말했습니다.
리씨에 따르면 자체 운영 브랜드 제품은 왓슨스의 외부 마케팅의 초점이 되며 매장에서 '초가치 단일 제품'으로 진열되거나 다른 주문과 함께 패키지로 판매될 예정이다. 판매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직원의 해당 월 실적과 직결되며, 커미션도 받지 못한다. "2017년쯤에는 월 1만 위안 이상 벌기가 쉬웠는데, 지금은 기본적으로 월 3000위안 안팎으로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아졌어요. 자가 운영 제품을 주로 홍보하는 이유는 그보다 수익이 더 높기 때문이에요. 다른 브랜드의 경우 일반적으로 약 60%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왓슨스는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매출이 더 좋다. "첫째, 최근 칭다오가 관광 시즌이라 많은 관광객들이 음식배달 앱을 통해 여행가방이나 화장품을 구매하게 됩니다. 둘째, 회사도 온라인 판매채널을 전면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어 온라인 할인폭이 더욱 커졌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매장의 월간 매출이 만족스럽지 않습니다.”라고 Li 씨는 말했습니다.
실제로 기자는 중국 시장에서 왓슨스의 실적이 2015년부터 부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본격적인 분기점은 2016년에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당시 왓슨스는 446개 신규 매장을 추가해 전체 매장 수는 2,929개로 늘었지만, 그 해 매장 매출은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감소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Watson의 중국 시장 실적 성장률은 23%, 14%, 9%에서 -3.82%로 떨어졌습니다.
공급자도 싫고 소비자도 싫은 '이중비난'에 시달려
"쇼핑몰 1층 왓슨스라면 주로 음료를 사러 들어가죠. 결국 슈퍼마켓에서 계산하려고 줄을 서는 것보다 훨씬 편해요. 하지만 왓슨스에서 뷰티 제품을 구매한 적은 없어요. 가격이 너무 비싸서 지나갈 때 가서 쇼핑하고 싶지도 않다고 2000년대 이후 대학생인 Song Qing이 기자들에게 말했습니다.
또한 기자는 왓슨스에서 오프라인으로 구매한 상품을 결제할 때 항상 영업사원이 고객에게 회원카드 신청을 적극적으로 권유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소비자가 멤버십에 대해 묻지 않더라도 매장 직원이 주도적으로 소비자에게 유료 멤버십 카드를 구매할지 소개하고 물어보며, 무료 멤버십을 경시하고 멤버십으로 업그레이드하면 가격이 더 유리해질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카드.
기자가 소비자 자격으로 왓슨스에서 물건을 구매하자 점원은 "왓슨스 멤버십 카드는 35위안과 99위안 카드 두 종류가 있다"며 주도적으로 유료 멤버십 카드를 도입했다. 기존 무료 회원카드 존재.
블랙캣 민원 플랫폼에는 “왓슨이 소비자를 속여 멤버십 카드를 신청한다”는 민원이 많다. 많은 소비자들이 멤버십 카드를 신청하기 위해 멤버십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밝혔으며, 회원 가입 후 구매한 상품의 가격이 호의적이지 않고, 온라인 브랜드 가격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체 운영 플랫폼.
로레알 파리 히알루론산 하이드레이팅 샴푸 440ml를 예로 들어보자. 왓슨스 회원가는 85위안이지만 L'의 65위안보다 비회원가 119위안보다 34위안 저렴하다. Oreal Hair Salon Taobao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 전자는 여전히 20위안 더 비쌉니다.
오늘날의 왓슨스는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급업체들에게도 미움을 받고 있습니다. "최신 브랜드 중 일부는 왓슨스와의 협력을 꺼리고 대신 세포라로 가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왓슨스의 스타일이 젊은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매출이 좋지 않으면 3~5개월 정도 걸릴 것입니다. 지불을 받으려면 지불 주기가 길어지므로 비용 효율적이지 않습니다.”라고 Li 씨는 말했습니다.
판구씽크탱크 선임연구원 장한(Jiang Han)은 왓슨스가 오프라인 유통 거대 기업에서 '양면' 상황으로 추락한 이유에 대해 "시장 환경 변화가 왓슨스 성장 부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 그는 전자상거래의 성장, 소비자 쇼핑 습관의 변화,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과의 경쟁 등이 주로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왓슨스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현대 소비자들은 개인화되고 고품질의 소비 경험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Watsons의 제품 라인과 매장 레이아웃은 이러한 추세를 제때 따라잡지 못하여 젊은 소비자 그룹 사이에서 매력이 감소했습니다. 오프라인에서는 새로운 뷰티 컬렉션 매장과 전문 매장이 많이 등장하면서 보다 유연한 비즈니스 모델과 경쟁력 있는 가격 전략으로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왓슨스의 시장 점유율은 더욱 감소하고 있습니다.
EBITDA는 거의 90% 감소했습니다.
최근 왓슨스의 모회사인 CK 허치슨 홀딩스는 2024년 상반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 기간 동안 왓슨스 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914억 6900만 홍콩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건강 및 미용 소매 부문에서 Watsons China는 68억 7900만 홍콩달러(약 63억 2200만 위안)의 매출과 2억 5000만 홍콩달러(약 2억 3000만 위안)의 EBITDA(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전 수익)를 달성했습니다. 상반기 흑자를 달성했지만, 과거 전성기 때와 비교해 왓슨스의 EBITDA는 2019년 37억3600만홍콩달러에 비해 90% 가까이 줄었다. 피크.
사실 부진한 성장은 왓슨스에게는 새로운 이야기가 아닙니다. 2004년부터 2015년까지 급속한 발전의 황금기를 경험한 후, Watsons는 개발 병목 현상에 직면했습니다. 이는 주로 중국 시장에서의 운영에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급진적인 확장으로 인해 매장이 폐쇄되었습니다.
출처: Watsons 재무 보고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돌이켜보면 왓슨스는 매년 300개 이상의 매장을 유지해왔고, 오프라인 매장 수도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 하지만 2020년부터 왓슨스의 오프라인 매장 성장세는 크게 둔화됐고, 2022년에는 대규모 매장 폐점까지 발생했다. 2022년 왓슨스는 중국 본토에서 하루에 거의 한 매장씩 문을 닫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왓슨스 매장 순증가율은 각각 168개, 64개, -343개, 4개였다. 2023년 상반기까지 중국 본토 매장 수는 3,780개로 더욱 줄어들었다.
"디지털 혁신 강화는 왓슨스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입니다. 왓슨스는 언제 어디서나 소비자의 쇼핑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보다 완벽한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구축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을 개선하며, 옴니채널 마케팅을 달성해야 합니다. 에서 또한, 제품 구조와 공급망 최적화, 매장 경험 개선, 브랜드 구축 강화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Watsons는 KOL 협력,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브랜드 홍보 노력을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와 평판을 높일 수 있습니다. 동시에 정밀 마케팅을 수행하여 다양한 소비자 그룹을 위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시작합니다.”라고 Jiang Han은 말했습니다.
젊은층이 좋아하는 최첨단 브랜드가 아직 왓슨스에 들어오지 않고, 오리지널 브랜드들이 속속 철수하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소비자들의 유일한 선택이 아닌 왓슨스는 다시 왓슨스의 선두로 돌아가고자 한다. 소매는 열반과 부활에 해당합니다.
(인기 뉴스·펑커우 금융 기자 관옌안)
(본 글의 의견은 참고용일 뿐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투자는 리스크가 크므로 진입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보고/피드백